[해외자료]바티칸의 고립과 소외, 국제무대에서 무시당하는 교황청
마르코 폴리티의 경고는 교황청이 최근 우크라이나와 같은 국제적으로 중요한 사건에서 소외되고 무시되고 있다는 현실을 드러내고 있다. 이탈리아의 좌파 기자로서, 폴리티는 1971년부터 바티칸을 취재해왔으며,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위험성을 지적했다. 특히 프란치스코 교황이 우크라이나에서 휴전을 촉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요청이 무시되는 사례를 들어 이를 강조했다.
현재 우크라이나의 상황에서 교황이 소외되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은 교황을 무시하고,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은 간섭을 원치 않으며, 푸틴은 바티칸을 협상의 유효한 도구로 여기지 않는다. 또한 중국의 시진핑도 교황청의 입장을 내부 정치적 이유로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전에 바티칸의 중재 가능성을 언급한 적이 있지만, 현재는 교황의 키이우 방문을 통해 푸틴을 압박하려는 전략을 택하고 있다.
폴리티의 말은 현재 바티칸 외교가 처한 상황을 심각하게 경고하는 것이다. 이는 과거에는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도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유럽의 여러 정부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목소리를 존중한다고 주장되지만, 실제로는 무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티칸 국무장관인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과 외무장관인 폴 갤러거 대주교는 교황의 결단력에 어색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에 비해 과거의 사례들은 바티칸이 국제적인 사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을 보여준다. 케네디와 흐루쇼프가 쿠바 미사일 위기 때 바티칸의 중재를 구했고, 오바마 대통령 시절에는 바티칸을 통한 하바나와의 관계가 유용했다. 또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이라크 침공에 대해 단호한 '아니오'를 내세웠을 때는 다양한 종교 지도자들과 교회 단체들의 지지를 받았다.일부에서는 교황 프란치스코의 끊임없는 평화와 사회적 정의에 대한 호소, 국제 이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환경 보호를 위한 탄소 배출량 감소, 그리고 경제 규제 강화에 대한 요구가 그의 도덕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진보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비판하는 목소리가 있다.
이러한 비판은 교황 프란치스코가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그의 메시지를 조작하거나 그의 교황청이 진보적인 정책을 홍보함으로써 그의 권위를 높이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한다. 따라서 이들은 그의 메시지가 예언적인 것보다는 정치적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일각에서는 이것이 아마도 프란치스코가 처음부터 의도한 것일지도 모른다고 비꼬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